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강아지 눈 가려움의 흔한 원인과 확인해야 할 신호들

질환안내/안과

by 펫비아츠 2025. 11. 18. 14:36

본문

강아지가 앞발로 눈 주변을 가볍게 비비는 모습

 

 

강아지가 평소보다 자주 눈을 비비거나 깜빡이는 모습을 보면 보호자분들은 작은 변화라도 금방 알아차리곤 합니다. 눈 가려움은 단순한 자극으로도 나타날 수 있지만, 때로는 안구 표면의 손상이나 알레르기 반응처럼 조금 더 면밀한 확인이 필요한 상황의 신호가 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강아지에게 흔하게 보이는 눈 가려움(itching) 증상이 어떤 원인에서 시작되는지, 그리고 보호자분들이 확인해두면 도움이 되는 기본적인 관찰 포인트들을 정리해드리려 합니다. 부담스럽지 않은 선에서 참고하실 수 있도록, 실제 진료에서 자주 마주하는 패턴을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흔하게 보이는 원인들 정리

각막·결막 구조와 먼지·털 자극 요인을 나타낸 도식형 이미지

 

강아지의 눈 가려움은 대체로 비교적 단순한 자극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늘어나고, 산책 중 들어간 미세한 먼지나 작은 털 조각이 눈 표면에 닿아 일시적으로 불편함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눈 주변 털이 길어져 각막에 스치면서 생기는 가벼운 자극도 흔히 보입니다.

이런 요인들은 대부분 경과를 지켜보며 관리할 수 있는 편이지만, 반복적으로 비비는 행동이 이어지거나 눈물이 과하게 흐르는 상황이라면 원인을 조금 더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단락에서는 이러한 ‘단순 가려움’과 구별해야 할 위험 신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단순 가려움과 구별해야 할 위험 신호

간단한 체크리스트 도식 이미지

 

가벼운 자극으로 생긴 눈 가려움은 대체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편이지만, 특정 변화들이 보인다면 단순한 불편함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강아지가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거나, 눈가를 지속적으로 비비며 통증 반응을 보이는 경우는 각막 손상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눈물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분비물이 탁해지는 양상 역시 주의 깊게 볼 신호입니다.

특히 한쪽 눈만 지속적으로 불편해한다면 더 세심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각막염, 궤양, 이물 등이 있을 때 이런 패턴이 흔히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이런 변화들이 동반된다면 빠른 시점에 병원에서 확인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진료실에서는 어떤 부분을 확인할까

진료실에서 슬릿램프가 놓인 검사 공간

병원에서는 우선 눈 표면에 이물이나 자극 요소가 남아 있는지부터 세밀하게 살펴봅니다. 결막의 붉어짐 정도, 각막 표면의 미세한 긁힘 여부, 분비물의 성상 등 기본적인 관찰만으로도 방향이 어느 정도 잡힙니다. 필요할 경우 형광염색(FS test)을 통해 각막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눈 주변 털이 각막을 건드리고 있는지, 알레르기 패턴이 의심되는지 등 세부 요소를 추가로 점검합니다.

검사는 대부분 간단하게 진행되며, 보호자분이 느끼는 부담도 크지 않은 편입니다. 초기 진단만 정확히 잡아도 관리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반복될 때는 짧게라도 진료실에서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집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본 체크 포인트

아이콘으로 구성된 5가지 체크리스트 도식 이미지

 

가벼운 눈 가려움이 의심될 때 보호자분이 집에서 확인해볼 수 있는 부분들도 있습니다. 먼저 눈 주변 털이 각막을 스치고 있지 않은지 살펴보고, 산책 후라면 먼지나 작은 이물로 인한 일시적 자극 가능성도 함께 고려합니다. 양쪽이 아닌 한쪽 눈만 불편해 보이는지, 평소보다 깜빡임이나 비비는 행동이 증가했는지 같은 패턴도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이와 함께 24시간 정도의 경과를 지켜보며 증상이 가라앉는지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다만 통증 반응처럼 보이는 변화(눈을 제대로 못 뜨는 상황, 과도한 눈물, 탁한 분비물)가 나타나면 집에서 경과만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빠르게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치과 중심 병원이지만 기본 안과 트리아지도 함께 진행합니다

따뜻한 조명의 동물병원 진료실 내부 전경

저희 병원은 치과 진료와 스케일링·구강수술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반려동물의 일상적인 불편함을 살피는 기본적인 안과·피부 트리아지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눈 가려움처럼 비교적 가벼운 증상이라도 반복되면 원인을 명확히 확인해두는 것이 도움이 되고, 간단한 검사만으로도 상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황이 애매할 때는 짧게라도 확인을 도와드리고 있으니, 변화가 계속되거나 보호자분이 걱정되는 부분이 있다면 편하게 문의해 주시면 됩니다.

 

 

📞 02-999-7582 💬 카카오톡 상담 : “동물병원 비아츠” 검색

🚗 주차 편리 / 합리적인 진료비 / 동물치과병원

📍 서울 도봉구 우이천로 446-3 1층 

 

"보호자의 마음으로 함께합니다. 정확한 진단, 책임 있는 치료로 보호자와의 신뢰를 지켜가겠습니다."